행복주택 지원이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행복주택 지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행복주택이란 청년,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대학생 등 젊은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부지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사업의 지원대상과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행복주택 지원이 당신의 꿈의 집을 실현하는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
행복주택 공급 지원대상
행복주택의 지원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ㆍ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다음의 행복주택 해당 입주자 자격을 만족하는 자에게 1세대 1주택의 기준으로 공급합니다.
*1인 1주택 또는 2인 1주택 기준으로 공급 가능
ㆍ대학생, 청년,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주거급여 수급자, 고령자, 산업단지근로자, 창업인, 지역전략산업종사자,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자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각 계층별로 소득기준과 자산기준이 적용되며, 세부적인 요건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계층 | 소득기준 | 자산기준 | 비고 |
대학생 | 본인 및 부모 합계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20%이하(1인가구), 110%이하(2인가구), 100%이하(3인이상가구) | 본인 총 자산 1억원, 자동차 미소유 |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다음학기에 입,복학예정인 사람 또는 고등학교를 졸업, 중퇴 후 2년 이내인 사람 |
청년 | 세대소득(단,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일 경우는 본인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20%이하(1인가구), 110%이하(2인가구), 100%이하(3인이상가구) | 세대(단,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인 경우 본인) 총자산 2억 7,3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19~39세에 속하거나 소득이 있는 업무 5년 이내인 사람 또는 퇴직 후 1년 이내의 자 중 구직급여 수급 자격이 있는 자 또는 예술인 |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 세대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30%이하(맞벌이부부 2인가구), 120%이하(1인가구 또는 맞벌이부부 3인이상가구), 11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2인가구),
10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3인이상가구) |
세대내 총자산 3억 4,5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 신혼부부 :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혼인기간 7년 또는 6세이하 자녀를 둔 사람
예비 신혼부부 : 혼인을 계획중이며, 혼인으로 구성될 세대의 구성원 모두 무주택자인 사람 한부모가족 : 6세이하(태아포함)의 자녀를 둔 무주택세대구성원 |
주거급여수급자 | 세대소득이 중위소득의 45% 이하 | 소득인정액 평가 시 반영 |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서 주거급여수급 대상자 |
고령자 | 세대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20%이하(1인가구), 110%이하(2인가구), 100%이하(3인이상가구) |
세대내 총자산 3억 4,5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65세 이상인 사람 |
산업단지근로자 | 세대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30%이하(맞벌이부부 2인가구), 120%이하(1인가구 또는 맞벌이부부 3인이상가구), 11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2인가구), 10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3인이상가구) | 세대내 총자산 3억 4,5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 무주택세대 구성원(단, 미혼자의 경우 무주택자 요건 적용)으로서 인근(연접 시.군 포함) 산업단지의 입주기업 등에 재직 또는 1년 이상 근무(예정) 중인 사람 |
창업인, 지역전략산업종사자,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자 | 세대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30%이하(맞벌이부부 2인가구), 120%이하(1인가구 또는 맞벌이부부 3인이상가구), 11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2인가구), 100%이하(맞벌이부부 제외 3인이상가구) | 세대내 총자산 3억 4,500만원, 자동차 3,708만원 | 무주택세대구성원(단, 미혼자의 경우 무주택자 요건 적용)으로서
1) 창업활성화 및 지역전략산업 등의 육성을 위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이 인정하는 창업인,예비창업인(19~39세) 2) 지역전략산업에 종사하는 등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람(19~39세) 3)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청년(19~39세)’,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또는 ‘미성년자 자녀 1명이상 포함한 3명이상으로 구성된 세대의 구성원으로 중소기업 근무 총 5년 이상인 사람’ |
행복주택 공급 지원내용
행복주택의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ㆍ전용면적 60㎡ 이하 주택을 입주계층에 따라 인근 임대시세보다 60~80%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6년~20년까지 거주 가능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합니다.
ㆍ각 계층별 임대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생, 소득이 없는 청년 : 시세의 68%
–소득이 있는 청년, 창업 및 지역전략산업 지원주택 입주자 : 시세의 72%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산업단지근로자,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 장기근속자 : 시세의 80%
–고령자 : 시세의 76%
–주거급여수급자 : 시세의 60%
ㆍ행복주택의 최대 거주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생 및 청년 : 6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창업지원주택 및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의 입주자 또는 중소기업전용주택 입주 장기근속자 : 자녀가 없는 경우 6년, 자녀가 1명 이상인 경우 10년
–주거급여수급자: 20년
–고령자: 20년
–산업단지 근로자: 6년
※ 비고
-예비입주자가 없거나 재공급을 통한 신규 입주희망자가 없는 경우 2년씩 연장가능
-재청약으로 동일한 공급대상 입주자로 다시 선정되는 경우 총 거주기간 합산 기간은 위 최대거주기간 적용됨
(예시) A단지에서 청년으로 4년 거주후 B단지 청년계층으로 이주시 최대 2년 거주만 가능
-최대거주기간이 10년미만인 계층으로 병역의무이행후 동일한 공급 대상의 입주자로 다시 선정되는 경우, 총 거주기간 합산기간 10년까지 거주 가능
(예시) A단지에서 청년으로 4년 거주하다 병역의무를 이행 이행한 후 B단지 청년계층으로 다시 거주시 최대 6년 추가로 거주 가능
행복주택 공급 신청방법
행복주택을 신청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ㆍ해당 공공주택사업자(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도시공사 등) 홈페이지 및 대표전화 이용하여 확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기간은 각 사업자별로 상이하므로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서와 구비서류를 준비하여 온라인 또는 방문접수합니다.
마무리
행복주택은 젊은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사업의 지원대상과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행복주택 지원이 당신의 꿈의 집을 실현하는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
ㆍ더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1599-0001) 에서 확인바랍니다!
※ 정부 복지 정책중 다른복지가 궁금하시거나 지자체의 복지가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고 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