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 가이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영암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이란 무엇이고, 누가 받을 수 있으며,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이란?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이란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주택대출이자 지원 사업과 연계,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등 실비를 추가 지원하여, 신혼부부의 지원 확대 및 주거 안정에 기여하는 복지사업입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은 영암군 외 지역에서 거주하다가, ’24. 1. 1. 이후 영암군으로 전입 및 이사하여 전입신고를 완료한 가구 중, 가구 구성 형태가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가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내인 자에게 지원되는 사업입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은 「영암군 인구정책에 관한 조례」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

 

영암군 이사비용 지원 사업의 장점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은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비용의 50%를 지원함으로써, 이사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주택대출이자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는 의미있는 사업입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을 받으시는 분들은 최대 100만 원의 이사비용과 최대 40만 원의 중개수수료를 지원받으실 수 있으며, 영암군의 다양한 복지사업에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은 영암군의 인구증가와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대상

 

ㆍ영암군 외 지역에서 거주하다가, ’24. 1. 1. 이후 영암군으로 전입 및 이사하여 전입신고를 완료한 가구

 

ㆍ가구 구성 형태가 아래 ①~③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청년 : 만 19세 이상 만 49세 이하인 영암군에 주소를 둔 1인 가구

 

신혼부부 : 아래 가, 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부부

 

가. 혼인신고로부터 7년이 지나지 아니함

 

나. 부부 모두 영암군에 주소를 두고 거주

 

다자녀가정 : 아래 가, 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

 

가. 가족관계등록부상 25세 이하인 미혼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

 

나. 다자녀가정 요건 충족에 필요한 구성원 모두가 영암군에 주소를 두고 거주

 

선정기준

 

ㆍ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내인 자

 

☞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고지금액이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상 기준중위소득 150%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하여야 함(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

 

지원제외 : 아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타기관(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이사비‧중개보수를 지원받은 자

 

◦임대인(집주인)이 신청인의 가족관계증명서 상 ‘부모 또는 형제’인 경우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체납자 등)

 

지원내용

 

ㆍ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비용의 50% 지급

 

이사비용 : 최대 100만 원

 

중개수수료 : 최대 40만 원

 

신청방법

 

ㆍ주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 신청합니다.

 

ㆍ문의 : [영암군청] 기획행정국 인구청년정책과 (☎ 061 – 470 – 2081 )

 

마치며

 

오늘은 영암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은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비용의 50%를 지원함으로써, 이사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주택대출이자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는 중요한 복지사업입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을 받으실 수 있는 분들은 위의 절차에 따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사비용 및 중개수수료 지원 사업을 통해 영암군의 인구증가와 지역발전에 기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부지원 복지서울특별시 복지부산광역시 복지대구광역시 복지인천광역시 복지광주광역시 복지대전광역시 복지울산광역시 복지세종특별자치시 복지경기도 복지강원특별자치도의 복지충청북도 복지충청남도 복지전북특별자치도 복지전라남도 복지경상북도 복지경상남도의 복지제주특별자치도 복지

댓글 남기기